[AI센터 권은지]
올해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국제축구연맹(FIFA)이 개발한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 (SAOT, Semi-Automated Offside Technology)이 처음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세계 각국의 자존심을 건 대결에서 작은 판정 하나도 큰 논란으로 확산되고 심판의 판정에 불만을 제기하는 장면은 늘 논란거리가 되어 왔지만 이번 월드컵에서는 비교적 조용합니다. 축구에서 오프사이드 반칙은 주로 공격 진영에서 공을 가진 자신의 팀 선수가 패스를 하였을 때 공을 받는 선수가 공을 차는 순간 골키퍼와 상대방의 수비수보다 골라인에 가까이 있을 때 선언됩니다. 그 가운데 인체모션 인식기술 SAOT 은 선수의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여 주심이 올바른 판정을 하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데이터의 수집은 경기장내 설치된 12개의 추적 카메라를 기반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경기중인 22명의 선수들의 관절을 비롯하여 판정에 필요한 29개의 신체 부위 위치 데이터를 초당 50회 분석합니다.
공인구 ‘알 릴라’ 내부에도 관성측정센서(IMU)가 장착되었습니다. 초당 500회 빈도로 공의 움직임을 전송하여 선수가 패스를 하는 순간 또한 정확하게 기록해 줍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곧바로 비디오실(VOR, Video Operation Room)로 전달됩니다. 그리고 최종 판단은 주심이 하게됩니다.
특히, 한국과 포르투갈의 경기에서 황희찬 선수가 골을 넣은 후 상의를 벗었을 때 입고 있었던 웨어러블 기기는 손흥민 선수의 마스크와 비슷하여 많은 패러디가 나오기도 하였습니다. ‘전자 성능 추적 시스템(EPTS·Electronic Performance & Tracking System)이라고 불리는 의류형 웨어러블 기기였습니다. 이 장치는 길이 18cm, 무게 53g의 장치는 위치 추적 장치(GPS) 수신기, 자이로스코프(회전 운동 측정 센서), 가속도 센서, 심박 센서 등 각종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감독과 코치진은 기기로부터 얻은 데이터 정보를 통해 선수들의 활동량, 최고 속도, 히트맵 등을 확인하고 훈련과 전술에 사용합니다.
인공지능 기술과 데이터를 접목한 웨어러블 기기는 다양한 스포츠 경기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한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4D 모션 스포츠(4D Motion Sports)’의 동작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피로를 추적하였습니다. 선수들의 데이터는 허리에 부착된 작은 단말을 통해 수집하며 훈련 후 선수와 코치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을 수정합니다. 이 장치는 선수가 점프하는 이륙과 착지의 알고리즘을 완성하여 점프로 인한 고관절과 몸 중추 스트레스를 추정할 수 있으며, 각속도가 낮아지고 점프 높이가 낮아진 상황에서의 반복 연습은 만성적인 신체 사용으로 이어져 부상으로 연결되기 쉽지만, 데이터의 도움을 받아 선수의 컨디션과 운동방법을 도와준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스포츠에 활용되는 웨어러블 기기는 윤리적인 문제가 항상 존재합니다. 선수의 활동량과 프라이버시에 누가 접속을 하고, 그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관한 우려도 있습니다. 당장에는 명확한 규제가 없지만 현재 백악관은 AI 기반의 개인 데이터 사용 관리에 대한 규정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어, 향후 법률로 규제가 마련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편, 노동시장에서 스포츠에 접목되는 인공지능 기술들이 인간 코치나 감독을 대체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경기 중 지도자는 그 자리에서 직접 선수의 상황을 고려하며 느끼고 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선수의 기량 회복에 도움을 주거나 퍼포먼스를 더 잘 발휘하도록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FIFA 기술관련 출처 : https://www.fifa.com/technical/football-technology/standards/epts/epts-1
AI 스포츠 활용 출처 : https://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87776
4D Motion 기술관련 출처 : https://4dmotionsports.com/figure-sk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