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persWithCode의 한국어 데이터셋
AI 분야의 다양한 논문들 및 연계된 오픈 소스, 그리고 SOT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paperswithcode에서는 3천개가 넘는 유용한 데이터셋 링크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셋은 851종이며, 한국어로 한정할…
AI 분야의 다양한 논문들 및 연계된 오픈 소스, 그리고 SOTA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paperswithcode에서는 3천개가 넘는 유용한 데이터셋 링크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셋은 851종이며, 한국어로 한정할…
카카오브레인에서 다양한 자연어 태스크에 대응 가능한 통합된 형태의 자연어 프레임워크인 Pororo를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Pororo는 Platform Of neuRal mOdel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의 약자이며 HuggingFace와 유사한 목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Pororo는…
딥러닝 모델의 파라미터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학습에 필요한 메모리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OpenAI의 GPT-2는 1.5B개의 파라미터들로 구성되며 Google의 mT5도 13B에 이르는 파라미터 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OpenAI의 GPT-3의 파라미터 수는…
AI 분야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온 것은 맞지만, 인간에 비해서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만일 AI의 최종 목표를 인간의 뇌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모사하는데 둔다면, 인간의 뇌가 수행할 수 있지만…
OpenAI가 발표한 DALL-E는 자연어 텍스트로부터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에도 StackGAN이나 OP-GAN 등 같은 목적의 기술들이 있었지만 DALL-E는 초대규모 언어 모델인 GPT-3 기반으로 만들어져서 최종 결과물의 품질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uperGLUE는 다양한 자연어 이해 task에 대해 AI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는 챌린지입니다. 기존 GLUE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task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최근 Microsoft에서 발표한 DeBERTa 모델이 SOTA(state-of-the-arts)를 달성했으며, 평가…
최근 정식 버전이 릴리즈된 스캐터랩(https://scatterlab.co.kr/)의 “루다”는 수십억건의 카카오톡 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 오픈도메인 챗봇으로 누구나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나눠볼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DEVIEW 2020에서 스캐터랩 김종윤 CEO가 발표한 동영상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뇌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을 통틀어 치매라고 하는데, 알츠하이머는 치매 중 60%-80% 가량을 차지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는, 알츠하이머를 빠르게…
KoChat은 고현웅님이 공개한 한국어 오픈소스 챗봇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음은 KoChat github 저장소입니다: 흔히 챗봇이라고 하면 대화 모델만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챗봇이라는 제품 관점에서 보면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차지하는 부분은 일부분에 불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