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eQ의 디지털 휴먼 플랫폼 출시
UneeQ가 Digital Human Creator라는 디지털 휴먼 플랫폼을 출시했습니다. 서비스 가격이 다소 부담스럽긴 하지만, free trial을 제공하고 있어서 간단한 테스트를 해 보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시각적 측면에서는 기존에 많이 나왔던 3D 아바타들을…
UneeQ가 Digital Human Creator라는 디지털 휴먼 플랫폼을 출시했습니다. 서비스 가격이 다소 부담스럽긴 하지만, free trial을 제공하고 있어서 간단한 테스트를 해 보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시각적 측면에서는 기존에 많이 나왔던 3D 아바타들을…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아직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MIT에서는 핸드폰으로 녹음한 기침소리로부터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AI 모델을 학습하였고, 이에 대한 방법론과 실험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실험 결과에…
Adobe에서 neural filter라고 불리는 AI 기반의 편집 도구들을 발표했습니다. 일부는 이미 Photoshop 최신 버전에 포함되었다고 하네요. 예시로 든 기능에는 사진의 하늘을 통째로 다른 하늘로 변경하는 것 (맑은 하늘, 구름이 있는…
2020년은 미디어 압축 분야에서 AI 기술 적용이 본격적으로 고려되는 원년이 될 것 같습니다. 올해 있었던 4가지 이벤트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차세대 영상 표준에서 딥러닝 기술이 빠지다 먼저, 7월에는…
핑퐁 블로그에 “슈퍼휴먼 AI를 꿈꾸는 루다의 대화 구성”이라는 글이 올라왔는데, 오픈 도메인 챗봇을 설계함에 있어서 고민해야 할 부분들이 여러 가지 들어 있어서 공유합니다. 이루다는 일상 대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는 스캐터랩이…
NVidia에서 Maxine이라는 클라우드 기반 화상 통신 플랫폼을 공개했습니다. Maxine의 특징은 AI 기술을 전면적으로 도입한 것인데, 구체적으로 얼굴 영상을 H.264와 같은 영상 코딩 기술로 압축해서 보내는 방식이 아니라 facial landmark를 detection하여…
마음이 참 짠했던 사진입니다. 저화질로만 남아 있는 유관순 열사의 사진을 고화질로 복원하고 미소를 덧붙인 것인데, 딥러닝 기반의 얼굴 편집 기술이 들어간 Faceapp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Faceapp에 정확히 어떤 기술이 들어갔는지는 알…
여러 네트워크 모델을 앙상블로 결합하면 성능이 오르는데, 총 네트워크의 크기와 추론 시간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할 때는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MEAL(Multi-model Ensemble via Adversarial Learning)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Transformer 기반의 언어 모델들이 보여주는 성능적 향상은 놀랍지만 모델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서비스 비용에 대한 고민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Bert-base나 GPT-2의 경우 약 1억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어서 모델 크기, 메모리 대역폭,…